3차 개정안이 이르면 다음달
'강원특별법' 3차 개정안이 이르면 다음달 소위 심사 절차를 밟을 수 있을 전망이다.
정치적 상황으로 8개월이 넘도록 논의 테이블에 오르지 못하고 있었던 만큼,특별법개정에 속도가 붙을지 관심이 쏠린다.
더불어민주당 송기헌(원주을) 국회의원은 23일 국회.
글로벌도시 조성을 위한특별법(이하강원특별법) 특례 활용 활성화와 여론 수렴을 위한 도민 설명회를 열었다.
지난해 6월 8일강원특별법전부개정 시행 이후 1년간의 특례 활용 사례를 공유하고 도민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했다.
8기 김진태강원특별자치도정 출범과 함께 시작된강원특별법이 시행 1년차에 접어들며, 각 분야 성과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강원특별법은 2023년 5월 25일 제21대 국회에서 전부개정 법률이 통과됐으며 지난해 6월 8일 본격 시행됐다.
이탈리아 남티롤은 지방세의 90%를 지역의 세입으로 하고 입법권까지 보유한 분권의 모범 지역”이라며 “지난 주 해외 출장에서 지방분권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실감했다”고 밝혔다.
강원특별법3차 개정안은 지난해 9월 국민의힘 한기호 국회의원(춘천·철원.
아이돌봄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등을 심사했다.
김기홍(국민의힘·원주)의원이 질의하고 있다.
도의회 기획행정위원회는 이날.
국민의힘 한기호(춘천·철원· 화천· 양구을), 더불어민주당 송기헌(원주을) 의원이 공동 발의한강원특별법개정안은 지난해 11월부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 계류 중이다.
12·3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 대선, 정부 출범 등 숨가쁜.
강원특별법3차개정 입법과제 전략회의.
김진태 도지사 주재로 열린 이날 회의에는 여중협 행정.
‘강원특별법’ 특례 활용 활성화를 위한 도민설명회가 3일 강릉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강원자치도가 건의한 5대 전략과제에는 접경지역 군사규제 완화와 평화경제특구 조성 등도 포함됐다.
여 부지사는 특히강원특별법3차 개정을 통한 실질적 자치권 이양과 중앙부처의 협조를 건의하면서 "법률 제정에 그치지 않고, 환경·산림·조세 등 현장에서.
지역 발전을 옥죄던 규제 상당 부분을 걷어내고 미래산업 기반을 하나둘 다지면서 체질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 지사는 앞으로강원특별법3차 개정안 처리와 교통망 확충 등 핵심 과제 마무리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김 지사는 최근 매일경제와 인터뷰.